복지

🌸 임신부터 출산, 그리고 주거 지원까지 한눈에 보기

ohom 2025. 4. 27. 22:23

임신부터 출산, 그리고 주거 지원까지 한눈에 보기

1. 임신부터 출산까지 받을 수 있는 지원

구분 지원 항목 주요 내용 신청 방법
임신 확인 임신확인서 발급 건강보험 적용 진료비 할인 가능 산부인과
임신 초기 국민행복카드(진료비 지원) 1인당 최대 100만원 지원 (다태아 140만원) 카드사 발급
임신 초기 엽산제·철분제 지원 임신 초기 엽산제, 중기 이후 철분제 제공 보건소
임신 중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고위험 질환 진료비 90% 지원 (최대 300만원) 보건소, 시·군·구청
임신 중 맘편한 K-캐시(바우처) 건강관리비 20만원 지원 국민행복카드 충전
임신 중 출산휴가 및 급여 출산 전후 90일 휴가 및 급여 지급 회사 및 고용보험 신청
출산 직후 출산지원금(지자체별) 10만~500만원 (지역별 상이) 주민센터, 온라인 신청
출산 직후 출생아 의료비 지원 신생아 의료비 일부 지원 지자체별 문의
출산 직후 산후조리비 지원 최대 50만원 지원 (지역별 상이) 국민행복카드, 지자체 신청
출산 후 아동수당 만 8세까지, 월 10만원 지급 주민센터, 복지로
출산 후 첫만남 이용권 출생아 1명당 200만원 지급 주민센터, 복지로
출산 후 영아수당 0~23개월, 월 30~70만원 지급 (현금/돌봄선택) 복지로, 주민센터

2. 출산 후 받을 수 있는 주택 관련 지원

구분 지원 항목 주요 내용
공공분양 우선공급 2세 미만 자녀 가구에 일반공급 물량 50% 우선 배정 청약 신청 시
특별공급 기회 추가 신혼부부, 신생아, 다자녀 특별공급 기회 1회 추가 청약 신청 시
주택 구입자금 대출 최대 5억원, 연 1.6~3.3% 금리 적용 주택도시기금 대출
전세자금 대출 수도권 5억/지방 4억 이하 주택 대상, 최대 3억 지원 주택도시기금 대출
취득세 감면 주택 취득 시 최대 500만원 한도 취득세 감면 취득세 신고 시 신청
공공임대 재계약 연장 자녀 19세까지 공공임대주택 재계약 가능 임대주택관리기관 신청
넓은 면적 공공임대 이주 태아 포함 2세 미만 자녀 있으면 넓은 공공임대 이주 허용 임대주택관리기관 신청

📚 한눈에 요약


단계 받을 수 있는 주요 지원
임신 확인~출산 전 국민행복카드, 엽산제/철분제, 진료비 지원, 출산휴가
출산 직후 출산지원금, 의료비 지원, 산후조리비, 아동수당, 첫만남 이용권
출산 이후 주거 공공분양 우선공급, 특별공급 추가, 대출 지원, 취득세 감면, 공공임대 혜택

🛎️ 참고해야 할 포인트

  • 국민행복카드는 임신 확인 후 최대한 빨리 발급받는 게 좋아요. 진료비뿐 아니라 산후조리원에서도 사용 가능!
  • 출산지원금, 산후조리비지역마다 금액과 조건이 다르니 꼭 거주지별로 확인하세요.
  • 주택 관련 혜택출산일 기준으로 신청 자격이 정해지니, 출산 직후 빠르게 청약 및 대출 준비를 하는 것이 좋아요.
  • 👶 영아수당(부모급여) 지원 안내 (2025년 기준)
    구분 지원 대상 지원 내용 비고
    현금 지원 가정에서 양육하는 0~1세 아동 0세: 월 100만 원,1세: 월 50만 원 어린이집, 유치원,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 미이용 시 해당
    보육료 지원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 바우처 지원 부모급여와 중복 수급 불가
    종일제 아이돌봄 지원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 이용 시 아이돌봄 바우처 지원 부모급여와 중복 수급 불가

    주의사항:

    • 부모급여(영아수당), 보육료,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 중 하나만 선택하여 수급할 수 있으며, 동시 수급은 불가합니다.
    • 선택한 서비스는 변경 가능합니다.
    • 보육료 또는 아이돌봄 바우처 지원금이 부모급여보다 적은 경우, 그 차액을 현금으로 지급합니다.

    신청 방법:

    • 주민센터 방문 신청
    • 복지로 누리집(www.bokjiro.go.kr) 온라인 신청
    • 보건복지 상담센터 ☎ 129 문의

    🏡 출산 후 주택 관련 지원 신청 방법 정리 (2025년 기준)

    1. 공공분양 우선공급 및 특별공급 기회 추가

    • 신청 대상: 2세 미만 자녀를 둔 무주택 가구
    • 신청 방법: 청약홈(www.applyhome.co.kr)에서 청약 시 해당 항목 선택
    • 주의사항: 청약 일정 및 자격 요건은 청약 공고문을 통해 확인 필요

    2. 신생아 특례 디딤돌대출 (주택 구입자금 대출)

    • 대상: 대출 신청일 기준 2년 이내 출산한 무주택 세대주 또는 1주택 세대주(대환대출)
    • 신청 방법:
      • 주택도시기금 포털(nhuf.molit.go.kr)에서 온라인 신청
      • 또는 기금 수탁은행(우리은행, 신한은행, 국민은행, 농협, 하나은행) 방문 신청
    • 필요 서류: 주택매매계약서, 가족관계증명서, 소득 및 자산 증빙 서류 등

    3. 신생아 특례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 대상: 대출 신청일 기준 2년 이내 출산한 무주택 세대주
    • 신청 방법:
      • 주택도시기금 포털(nhuf.molit.go.kr)에서 온라인 신청
      • 또는 기금 수탁은행 방문 신청
    • 필요 서류: 임대차계약서, 가족관계증명서, 소득 및 자산 증빙 서류 등

    4. 자녀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 (서울시)

    • 대상: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산한 무주택 가구로, 서울시 거주 및 자녀의 서울시 출생신고 완료자
    • 신청 기간: 2025년 5월 ~ 7월 예정
    • 신청 방법: 서울시 '몽땅정보 만능키' 포털(umppa.seoul.go.kr)에서 온라인 신청
    • 필요 서류: 확정일자 날인된 임대차계약서, 금융거래확인서 또는 월세 이체증, 가족관계증명서 등

    5. 주택 취득세 감면

    • 대상: 출산 후 1년 이내에 주택을 취득하고, 자녀와 함께 3년 이상 거주할 계획인 가구
    • 신청 방법:
      • 주택 취득 시 관할 시·군·구청 세무과에 방문하여 취득세 신고와 함께 감면 신청
      • 또는 정부24(www.gov.kr)를 통해 온라인 신청
    • 필요 서류: 주택매매계약서,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 출생증명서 등

    6. 공공임대주택 재계약 연장 및 넓은 면적 이주

    • 대상: 공공임대주택 거주 중 자녀를 출산한 가구
    • 신청 방법: 해당 공공임대주택 관리기관(SH공사, LH공사 등)에 문의하여 재계약 연장 또는 이주 신청
    • 주의사항: 자격 요건 및 신청 절차는 관리기관별로 상이하므로, 해당 기관에 직접 문의 필요